DNS는 Domain Name System 의 준말이다. 즉, Domain Name을 실제 컴퓨터가 연결할 때 쓰는 ip 주소로 resolving 해준다. ip주소를 resolving 해나가는 과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, 대표적인 "recursive resolving"이라는 과정을 다룬다. 이 recursive resolving 같은 경우는 DNS 분산 시스템을 활용하는데, 각 도메인 레벨별로 DNS 서버를 나눠서, ip resolving을 요청하는 트래픽을 레벨별로 분산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, 또한 하나의 DNS서버에서 가져야 하는 ip주소의 숫자를 역할별로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. 1. 로컬 DNS 서버 브라우저 등지에서 domain name으로 request를 보내면, 이 request를 기반으로..
HTTP Protocol http protocol은 연결이 유지가 (connectless) 되지 않기 때문에, 상태가 없다(stateless).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기 때문에, 서버는 기존 request에서 무엇을 했는지 알 수 가 없다. 즉, 다시말해서 클라이언트의 현재 시점의 상태를 알 수 없다. 하지만 실제 웹 서비스를 사용하다보면, 장바구니 정보, 로그인 상태 유지 등 상태가 유지되는 웹사이트 기술이 분명히 존재하는것을 알 수 있다. Session과 Cookie. 유저와 서버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중에 세션과 쿠키가 있다. - 세션 : 특정 시간동안( 예 : 30분) 동일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온 일련의 요청정보를 의미한다. - 쿠키 : 서버측으로부터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저장..
자바로 백앤드 개발을 하다보면 컨트롤러에서 URL을 리턴해야할 일이 있다. 프론트부분 (JSP,HTML) 부분에서도 리소스를 로드할 때 , 경로를 쓰기 때문에 때문에 굉장히 많이 헷갈렸다. 이번 기회로 정리해보았다. 상대경로, 절대경로 1. 상대경로 상대경로는 현재 위치한곳을 기준으로 해서 위치를 의미한다. - ./ : 현재 경로를 의미한다. - ../ : 이전 경로를 의미한다. ., ..는 디렉토리를 만들면 파일시스템에서 만드는 일종의 파일이고, 이를 접근하면 "." : 현재 폴더로 연결되는 참조를 가지고 있다. ".." : 부모 폴더로 연결되는 참조를 가지고 있다. 2. 루트경로 "/" : 루트 경로를 의미한다. 루트경로와 상대경로의 차이는 아래 사진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. example.css ..